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커트 브라우닝

덤프버전 :

커트 브라우닝의 수상 이력
[ 펼치기 · 접기 ]
||
[ 펼치기 · 접기 ]

1회(1896년) ~ 50회(1945년)
[ 펼치기 · 접기 ]

1회1896 상트페테르부르크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길버트 푹스2회1897 스톡홀름파일:오스트리아 제국 국기.svg 구스타프 휘겔
3회1898 런던파일:스웨덴 국기.svg 헤닝 그레난더4회1899 다보스파일:오스트리아 제국 국기.svg 구스타프 휘겔
5회1900 다보스파일:오스트리아 제국 국기.svg 구스타프 휘겔6회1901 스톡홀름파일:스웨덴 국기.svg 울리히 살코
7회1902 런던파일:스웨덴 국기.svg 울리히 살코8회1903 상트페테르부르크파일:스웨덴 국기.svg 울리히 살코
9회1904 베를린파일:스웨덴 국기.svg 울리히 살코10회1905 스톡홀름파일:스웨덴 국기.svg 울리히 살코
11회1906 뮌헨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길버트 푹스12회1907 빈파일:스웨덴 국기.svg 울리히 살코
13회1908 트로파우파일:스웨덴 국기.svg 울리히 살코14회1909 스톡홀름파일:스웨덴 국기.svg 울리히 살코
15회1910 다보스파일:스웨덴 국기.svg 울리히 살코16회1911 베를린파일:스웨덴 국기.svg 울리히 살코
17회1912 맨체스터파일:오스트리아 제국 국기.svg 프리츠 카글러18회1913 빈파일:오스트리아 제국 국기.svg 프리츠 카글러
19회1914 헬싱키파일:스웨덴 국기.svg 괴스타 샌달20회1915취소WWI
21회1916취소WWI22회1917취소WWI
23회1918취소WWI24회1919취소WWI
25회1920취소WWI26회1921취소WWI
27회1922 스톡홀름파일:스웨덴 국기.svg 일리스 그라프스트룀28회1923 빈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프리츠 카글러
29회1924 맨체스터파일:스웨덴 국기.svg 일리스 그라프스트룀30회1925 빈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빌리 뵈클
31회1926 베를린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빌리 뵈클32회1927 다보스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빌리 뵈클
33회1928 베를린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빌리 뵈클34회1929 런던파일:스웨덴 국기.svg 일리스 그라프스트룀
35회1930 뉴욕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카를 섀퍼36회1931 베를린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카를 섀퍼
37회1932 몬트리올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카를 섀퍼38회1933 취리히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카를 섀퍼
39회1934 스톡홀름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카를 섀퍼40회1935 부다페스트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카를 섀퍼
41회1936 파리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카를 섀퍼42회1937 빈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펠릭스 카스파
43회1938 베를린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펠릭스 카스파44회1939 부다페스트파일:영국 국기.svg 그래험 샤프
45회1940취소WWII46회1941취소WWII
47회1942취소WWII48회1943취소WWII
49회1944취소WWII50회1945취소WWII

51회(1946년) ~ 100회(1995년)
[ 펼치기 · 접기 ]

51회1946취소WWII52회1947 스톡홀름파일:스위스 국기.svg 한스 게르슈빌러
53회1948 다보스파일:미국 국기.svg 딕 버튼54회1949 파리파일:미국 국기.svg 딕 버튼
55회1950 웸블리파일:미국 국기.svg 딕 버튼56회1951 밀라노파일:미국 국기.svg 딕 버튼
57회1952 파리파일:미국 국기.svg 딕 버튼58회1953 다보스파일:미국 국기.svg 헤이스 엘런 젠킨스
59회1954 오슬로파일:미국 국기.svg 헤이스 엘런 젠킨스60회1955 빈파일:미국 국기.svg 헤이스 엘런 젠킨스
61회1956 가르미슈파르텐키르헨파일:미국 국기.svg 헤이스 엘런 젠킨스62회1957 콜로라도 스프링스파일:미국 국기.svg 데이비드 젠킨스
63회1958 파리파일:미국 국기.svg 데이비드 젠킨스64회1959 콜로라도 스프링스파일:미국 국기.svg 데이비드 젠킨스
65회1960 밴쿠버파일:프랑스 국기.svg 알렝 질레티66회1961 프라하취소사베나 548 비행기 추락사건
67회1962 프라하파일:캐나다 국기.svg 도널드 잭슨68회1963 코르티나담페초파일:캐나다 국기.svg 도널드 맥퍼슨
69회1964 도르트문트파일:독일 국기.svg 만프레트 슈넬도르퍼70회1965 콜로라도 스프링스파일:프랑스 국기.svg 알랭 칼마
71회1966 다보스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에메리치 단저72회1967 빈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에메리치 단저
73회1968 제네바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에메리치 단저74회1969 콜로라도 스프링스파일:미국 국기.svg 티모시 우드
75회1970 류블랴나파일:미국 국기.svg 티모시 우드76회1971 리옹파일:체코 국기.svg 온드레이 네펠라
77회1972 캘거리파일:체코 국기.svg 온드레이 네펠라78회1973 브라티슬라바파일:체코 국기.svg 온드레이 네펠라
79회1974 뮌헨파일:동독 국기.svg 얀 호프만80회1975 콜로라도 스프링스파일:소련 국기.svg 세르게이 볼코프
81회1976 예테보리파일:영국 국기.svg 존 커리82회1977 도쿄파일:소련 국기.svg 블라디미르 코발료프
83회1978 오타와파일:미국 국기.svg 찰스 티크너84회1979 빈파일:소련 국기.svg 블라디미르 코발료프
85회1980 도르트문트파일:동독 국기.svg 얀 호프만86회1981 하트퍼드파일:미국 국기.svg 스캇 해밀턴
87회1982 코펜하겐파일:미국 국기.svg 스캇 해밀턴88회1983 헬싱키파일:미국 국기.svg 스캇 해밀턴
89회1984 오타와파일:미국 국기.svg 스캇 해밀턴90회1985 도쿄파일:소련 국기.svg 알렉산더 파디프
91회1986 제네바파일:미국 국기.svg 브라이언 보이타노92회1987 신시내티파일:캐나다 국기.svg 브라이언 오서
93회1988 부다페스트파일:캐나다 국기.svg 브라이언 오서94회1989 파리파일:캐나다 국기.svg 커트 브라우닝
95회1990 핼리팩스파일:캐나다 국기.svg 커트 브라우닝96회1991 뮌헨파일:캐나다 국기.svg 커트 브라우닝
97회1992 오클랜드파일:독립국가연합 기.svg 빅토르 페트렌코98회1993 프라하파일:캐나다 국기.svg 커트 브라우닝
99회1994 치바파일:캐나다 국기.svg 엘비스 스토이코100회1995 버밍엄파일:캐나다 국기.svg 엘비스 스토이코

101회(1996년) ~
[ 펼치기 · 접기 ]

: 남자 | 여자 | 페어 | 아이스 댄스 | 단체전
: 남자 | 여자 | 페어 | 아이스 댄스
: 남자 | 여자 | 페어 | 아이스 댄스
: 남자 | 여자 | 페어 | 아이스 댄스
: 남자 | 여자 | 페어 | 아이스 댄스




캐나다선수권 남자 싱글 챔피언
파일:캐나다 피겨 선수권.png
브라이언 오서
(1988)
커트 브라우닝
(1989~1991)
마이클 슬립척
(1992)
마이클 슬립척
(1992)
커트 브라우닝
(1993)
엘비스 스토이코
(1994)


파일:2013062103172_0.jpg
이름커트 브라우닝(Kurt Browning)
국적
파일:캐나다 국기.svg

출생1966년 6월 18일 (57세)
앨버타 주 로키 마운틴 하우스
신체170cm
종목피겨 스케이팅
가족배우자[1] 알리사 시즈니(2022년 8월 18일 결혼~현재)
링크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
2. 선수 경력
2.1. 1985-86 시즌
2.2. 1986-87 시즌
2.3. 1987-88 시즌
2.4. 1988-89 시즌
2.5. 1989-90 시즌
2.6. 1990-91 시즌
2.7. 1991-92 시즌
2.8. 1992-93 시즌
2.9. 1993-94 시즌
3. 커리어



1. 개요[편집]


캐나다의 前 피겨 스케이팅 선수이다.

2. 선수 경력[편집]



2.1. 1985-86 시즌[편집]


네벨혼 트로피에서 동메달을 따고 세인트 제르바이스에서 은메달을 땄다. 스케이트 아메리카에서는 8위를 했다.

2.2. 1986-87 시즌[편집]


세인트 제르바이스에서 은메달, NHK 트로피에서 7위를 했다. 1987 캐나다선수권에서 은메달을 따고 1987 세계선수권에서 15위를 기록했다.

2.3. 1987-88 시즌[편집]


세인트 이벨에서 은메달을 따고 스케이트 캐나다에서 4위를 했다. 1988 캐나다선수권에서는 은메달을 따며 올림픽 대표로 선발되었다. 1988 캘거리 동계올림픽에서 8위[2], 올림픽이 끝나고 열린 1988 세계선수권에서 남자 싱글 최초로 쿼드러플 토룹 점프를 성공하며 6위를 기록했다.

2.4. 1988-89 시즌[편집]


세인트 이벨에서 우승하고 스케이트 캐나다에서 금메달, NHK 트로피에서 동메달을 획득했다. 1989 세계선수권에서는 처음으로 우승했다.

2.5. 1989-90 시즌[편집]


스케이트 아메리카와 NHK 트로피에서 동메달을 땄다. 1990 캐나다선수권과 1990 세계선수권에서는 2연패를 달성했다.

2.6. 1990-91 시즌[편집]


친선경기, 스케이트 캐나다, 네이션스 컵, 1991 캐나다선수권, 1991 세계선수권에서 모두 우승했다.

2.7. 1991-92 시즌[편집]


인터내셔널 드 파리에서 우승했다. 1992 알베르빌 동계올림픽에서는 유력한 금메달 후보로 꼽혔으나 실수로 인해 6위를 했다. 1992 세계선수권에서는 은메달을 획득했다.

2.8. 1992-93 시즌[편집]


1993 캐나다선수권과 1993 세계선수권에서 모두 우승했다.

2.9. 1993-94 시즌[편집]


스케이트 캐나다에서 우승하고 1994 캐나다선수권에서는 은메달을 획득했다. 1994 릴레함메르 동계올림픽에서는 5위를 하며 끝내 올림픽 메달을 따지 못했다. 이쯤 되면 올림픽과의 운은 없는 것 같다.

3. 커리어[편집]


세계선수권
금메달1989 파리남자 싱글
금메달1990 핼리팩스남자 싱글
금메달1991 뮌헨남자 싱글
금메달1993 프라하남자 싱글
은메달1992 오클랜드남자 싱글

국제대회
대회85–8686–8787–8888–8989–9090–9191–9292–9393–94
올림픽8th6th5th
세계선수권15th6th1st1st1st2nd1st
Int'l de Paris1st
네이션스 컵1st
스케이트 캐나다4th1st1st1st
NHK 트로피7th3rd3rd
스케이트 아메리카8th3rd
친선경기1st
St. Ivel2nd1st
St. Gervais2nd2nd
네벨혼 트로피3rd
국내대회
캐나다선수권2nd2nd1st1st1st1st2nd
[1] 전 부인과 이혼한 후 재혼이다.[2] 쿼드러플 토룹 점프를 시도했으나 랜딩이 불안했다. 이때 성공했다면 최초로 올림픽에서 쿼드러플 점프를 뛴 선수가 되었을 것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0 09:49:22에 나무위키 커트 브라우닝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